본문 바로가기
뜻과 유래

조롱이떡 뜻과 유래

by 독구독구독좋아요 2024. 2. 14.
반응형

조롱이떡 뜻

조롱이떡은 조롱박 모양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조랭이떡이라고도 불립니다. 조롱이떡은 모양도 독특하고, 떡국을 끓여 먹어도 잘 퍼지지 않아 쫄깃쫄깃한 맛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달리 보면, 눈사람 모양과도 비슷해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떡이기도 합니다.

 

조롱이떡

 

귀엽고 맛있는 조롱이떡 유래

이렇게 귀엽고 맛있는 떡이 조선의 첫 왕인 태조, 즉 이성계 때문에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원래 이성계는 고려의 무관, 장군이었습니다. 당시 고려를 지배하던 귀족들은 백성들을 괴롭히고 재물을 빼앗아 자신들의 배를 불리는데 정신이 없었습니다. 이렇게 백성들이 힘들어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왕 역시 귀족들의 눈치만 보며 자신의 배를 불리는 것이 우선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성계를 포함한 고려의 신하들은 우왕(고려의 마지막 왕)을 몰아내고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를 세운 것입니다. 

 

이성계를 비롯한 조선의 개국공신들은 당연히 백성들이 자신들이 세운 새로운 나라 조선을 좋아할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아무리 고려의 왕과 귀족들이 문제가 많더라도, 신하가 왕을 배신하는 것은 반역죄 아니겠습니까"

 

"이성계가 왕이되고 싶어서 반역을 도모한 것입니다"

 

새로운 나라인 조선의 개국에 불만들 품은 이들의 세력이 조금씩 커지는 것을 감지한 이성계(조선 태조)는 그들을 모조리 죽여버리게 됩니다.

 

이 사건 때문에 남편과 아들을 잃은 여인들이 많아졌고, 이들은 이성계를 저주했습니다. 별다른 힘이 없는 여인네들은 집에서 떡을 만들어 먹을 때에 쌓인 분을 풀었다고 합니다. 떡을 가늘게 한 입 크기로 썬 다음, 가운데를 대나무칼로 눌러 마치 이성계의 목을 조르는 듯 잘록하게 떡을 만들었습니다. 이 떡이 조롱이 떡이 되었고, 조선의 이성계가 조롱이떡의 유래가 된 이유입니다. 

 

참고자료

이성계는 조선의 개국을 끝까지 반대하던 세력이 주로 살던 개경(개성, 고려의 수도) 출신 사람들을 100년 동안 관직에 오르지 못하도록 했다고 합니다. 관직에 나갈 수 없는 개경 사람들은 열심히 장사를 하며 생계를 이어갔고, 덕분에 개경은 상업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장사를 잘하기로 소문난 송상이라는 개성상인이 탄생하게 됩니다.

반응형

'뜻과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비집 요리 가격, 뜻과 유래  (0) 2024.02.14
도루묵 뜻과 유래  (0) 2024.02.14
감질나다 뜻과 유래  (0) 2022.03.22
가책을 느끼다 vs. 가책을 받다 뜻과 유래  (0) 2022.03.21
쪽바리 쪽발이 뜻과 유래  (0) 2022.03.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