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는 종종 다정한 부부사이를 일컬어 '금슬이 좋다' 또는 '금실이 좋다'라고 말합니다. 과연 '금슬이 좋다'라는 뜻이 무엇이고 어디에서 유래가 된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금슬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금슬의 사전적 뜻, 의미
1. [명사] 부부의 화목한 정. 내외간의 금실.
2. [명사] 거문고와 비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부부간의 화목한 정, 다정한 부부'라는 뜻과 함께 '거문고와 비파'라는 뜻이 있습니다. 금슬이라는 단어는 각각 뜻이 다른 한자인데요, 금은 거문고, 슬은 비파를 뜻합니다.
금(琴) - 거문고. 거문고는 원래 중국의 7줄 악기를 고구려의 왕산악이 6줄로 변형해 만든 것
슬(瑟) - 거문고의 뜻이나, 왕산악의 거문고보다 크기가 큼(15, 19, 25, 27줄)
그렇다면, 어쩌다가 '금슬이 좋다'라는 표현이 다정한 부부를 의미하게 되었는지 그 어원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슬이 좋다'라는 말은 금슬지락(琴瑟之樂)이라는 사자성어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이 사자성어를 줄여서 금슬이라는 단어로 줄여서 사용한 것입니다.
금슬지락은 거문고와 비파가 아름다운 화음으로 연주되는 모습을 뜻하는 사자성어인데요, 이것을 다정하고 화목한 부부의 모습, 하나로 화합된 모습으로 비유하여 표현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부부의 모습을 아름다운 노랫가락의 화음으로 표현하다니 정말 갬성 가득한 표현력이네요.
마지막으로, '금슬이 좋다' '금실이 좋다' 어떤 표현이 알맞은 것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단순하게 거문고와 비파의 아름다운 화음을 뜻하는 것이라면 금슬!! (금실은 틀린 표현)
다정하고 화목한 부부 사이를 표현하는 것이라면, 금슬과 금실 모두다 옳은 표현이라고 합니다.
참고하셔서, 잘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뜻과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책을 느끼다 vs. 가책을 받다 뜻과 유래 (0) | 2022.03.21 |
---|---|
쪽바리 쪽발이 뜻과 유래 (0) | 2022.03.18 |
스팸메일 뜻과 유래 (0) | 2022.03.11 |
쪼다 뜻과 유래 (0) | 2022.02.11 |
개판오분전 뜻과 유래 (0) | 2022.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