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준 중위소득 총정리

by 독구독구독좋아요 2022. 7. 12.
반응형

중위소득'과 '기준 중위소득'

 

중위소득

전 국민을 100명이라고 가정하고 소득이 많은 사람부터 줄을 세웁니다. 그중에 50번째 사람의 소득을 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 중위소득은 매년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습니다. 100명의 평균과는 개념이 약간 다릅니다.

 

기준 중위소득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기준과 최저보장 수준을 정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민에게 알려주는 국민 가구 소득의 중위값입니다. 다시 말하면, 중위소득에서 내년도 소득 증가율 등을 고려하여 산출한(조정한)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입니다. 

 

매년 8월 1일에 다음연도 기준 중위소득과 최저 보장 수준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청년 구직활동 지원금, 취업성공 패키지, 국가장학금, 기초생활 교육급여, 주거급여, 생계급여, 의료급여, 긴급복지,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 등 약 80여 개 사업에서 두루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준 중위소득에 몇% 수준인지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2022년 기준 중위소득

 

2022년 기준 중위소득은 2021년 대비 5.02% 인상

가구원 수 1 2 3 4 5 6
2021년(원) 182 7831 308 8079 308 8079 487 6290 575 7373 662 8603
2022년(원) 194 4812 326 85 419 4701 512 1080 602 4515 690 7004
* 위 표는 기준 중위소득 100%임.

 

2022년 기준 중위소득 자료

상세 내용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 배포한 2022년 기준 중위소득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2년 기준 중위소득(최종).pdf
0.70MB

 

급여별 선정기준

  •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
  • 의료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
  • 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46% 이하
  • 교육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

 

2022년 급여별 선정기준 (기준 중위소득 %)

 

소득 수준으로 평가해보는 나의 계층 

 

중위소득으로 보는 나의 소득 수준

중위소득은 소득계층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 중위소득 50% 미만은 빈곤층으로 분류
  • 50% 이상 150% 이하는 중산층으로 분류
  • 150%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류층으로 분류

 

우리 가족의 중위소득 % 퍼센티지 계산하는 법

기준 중위소득 100%에서 비율대로 곱하시면 됩니다. 

계산 예) 4인 가족 소득이 500만 원일 경우

(500만 원) / (4인 가족 중위소득 100%인 512만 1080원) X 100% = 약 97.635 %
중위소득 90%~100% 사이며,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라는 뜻입니다.
반응형

댓글